본문 바로가기

tcp2

[Stateful vs Stateless] feat. TCP, UDP, HTTP 순서1. Stateful (상태유지)2. Stateful 예시 & 문제점3. Stateless (무상태)4. Stateless 예시 & 문제점5. 정리 ✅ Stateful(상태유지)-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는 방식- 일반적으로 브라우저의 쿠키나 서버의 세션 메모리에 저장됨 ✅ Stateful 통신 예시 - TCP의 3-way handshaking1.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SYN을 전송하고, SYN_SENT 상태가 됨2. 서버는 SYN을 요청받고, 클라이언트에게 SYN/ACK를 전송하고, SYN_RECEIVED 상태가 됨3. 클라이언트는 SYN/ACK를 받아 ESTABLISHED 상태가 되고,    서버에게 ACK를 전송하고, 서버도 ESTABLISHED 상태가 됨4. 세션 상태가 ESTABLIS.. 2024. 10. 24.
[OSI 7계층, TCP/IP 4계층] 순서 1. OSI 7계층 2. TCP/IP 4계층 ✅ OSI 7계층 - 과거에는 장비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했기 때문에 다른 회사의 장비와 통신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했음 - 프로토콜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ISO(국제표준화기구)에서 OSI 7계층 모델을 발표함 ➤ OSI 7계층 -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표준화하여 시스템 간의 상호연결성을 부여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 모델 -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 이용하고,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 1️⃣ OSI 1계층 : 물리 계층 -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장비 -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 수행 - 장비 : 통신 케이블, 허브 등 2️⃣ OSI 2계층 : 데이터 링크 계층 - 물리 계층.. 2023. 6. 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