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 공부26 [FTP, SFTP] feat. SSH 순서 1. FTP 2. SFTP 3. SSH ✅ FTP(File Transfer Protocol) - 원격 서버와 파일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 규약 - 암호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 노출 위험🛑 - 전송 제어를 위한 신호를 주고받는 21번 기본 포트(변경 가능) - 실제 데이터를 주고받는 20번 포트(변경 가능) - 능동(active) 모드와 수동(passive) 모드 존재 ➤ 능동(active) 모드 -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접속하는 모드 - 아래 그림에서 클라이언트 방화벽에 20번 포트가 차단되어 있으면 연결 불가능 => 서버 20번 포트는 아웃바운드 허용, 클라이언트는 인바운드 허용 설정 필요 ➤ 수동(passive) 모드 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접속하는 모드 - 20번 아닌 임의의 포트.. 2023. 6. 1. [OSI 7계층, TCP/IP 4계층] 순서 1. OSI 7계층 2. TCP/IP 4계층 ✅ OSI 7계층 - 과거에는 장비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했기 때문에 다른 회사의 장비와 통신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했음 - 프로토콜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ISO(국제표준화기구)에서 OSI 7계층 모델을 발표함 ➤ OSI 7계층 -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표준화하여 시스템 간의 상호연결성을 부여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 모델 -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 이용하고,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 1️⃣ OSI 1계층 : 물리 계층 -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장비 -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 수행 - 장비 : 통신 케이블, 허브 등 2️⃣ OSI 2계층 : 데이터 링크 계층 - 물리 계층.. 2023. 6. 1. [웹 서버, WAS] feat. 정적 페이지, 동적 페이지 순서 1. 정적 페이지 vs 동적 페이지 2. 웹 서버 vs WAS ✅ 정적 페이지 vs 동적 페이지 ➤ 정적 페이지 - 모든 상황에서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➤ 동적 페이지 -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- 이전에 공부했던 SSR, CSR이 바로 동적페이지를 처리하는 종류들임 https://for-your-information.tistory.com/11 ✅ 웹 서버 vs WAS ➤ 웹 서버 -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프로그램 - WAS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정적 페이지를 제공하는 역할 + 동적 페이지 제공을 WAS에게 요청하고,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 - ex) Apache Server, Nginx 등 *.. 2023. 5. 29. [렌더링] feat. SSR+MPA, CSR+SPA 순서 1. 렌더링 2. SSR with MPA 3. CSR with SPA ✅ 렌더링 - HTTP, CSS, JS 등 개발자가 작성한 문서들로 브라우저가 화면에 그려주는 과정 - 브라우저는 렌더링을 하기 위해 각각의 렌더링 엔진을 보유 ex) 크롬, 엣지 등 ➞ 블링크(Blink) 엔진, 사파리 ➞ 웹킷(WebKit) ✅ SSR(Server Side Rendering) - 동작과정 1. 클라이언트가 매번 새로운 페이지를 요청 2. 서버에서 렌더링하여 완성된 페이지 형태로 응답 - 장점 : 초기 렌더링 속도가 빠름 한 페이지에 모든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 엔진 최적화(SEO) 가능 - 단점 : 새로운 페이지를 요청할 때 마다 새로고침 발생 간단한 데이터 수정도 서버를 거쳐야하는 등 서버 과부화.. 2023. 5. 23. 이전 1 2 3 4 5 6 7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