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30 [HTTP, 웹소켓] feat. AJAX 순서 1. HTTP & AJAX 2. HTTP vs AJAX 3. 웹소켓 ✅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-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 ➤ 특징1 :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, 서버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클라이언트-서버 구조 ➤ 특징2 : 무상태 프로토콜 -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아서 요청과 응답이 독립적 - 장점 : 응답이 독립적이기 때문에 서버를 바꾸기 쉬워서 서버 확장성이 좋음 - 단점 : 로그인 등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서비스에는 클라이언트가 전송해야하는 데이터가 많아짐(쿠키, 세션, 토큰 등) ➤ 특징3 : 비연결성 -서버가 응답을 하고 나면 TCP/IP 연결을 끊음.. 2023. 6. 13. [FTP, SFTP] feat. SSH 순서 1. FTP 2. SFTP 3. SSH ✅ FTP(File Transfer Protocol) - 원격 서버와 파일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 규약 - 암호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 노출 위험🛑 - 전송 제어를 위한 신호를 주고받는 21번 기본 포트(변경 가능) - 실제 데이터를 주고받는 20번 포트(변경 가능) - 능동(active) 모드와 수동(passive) 모드 존재 ➤ 능동(active) 모드 -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접속하는 모드 - 아래 그림에서 클라이언트 방화벽에 20번 포트가 차단되어 있으면 연결 불가능 => 서버 20번 포트는 아웃바운드 허용, 클라이언트는 인바운드 허용 설정 필요 ➤ 수동(passive) 모드 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접속하는 모드 - 20번 아닌 임의의 포트.. 2023. 6. 1. [OSI 7계층, TCP/IP 4계층] 순서 1. OSI 7계층 2. TCP/IP 4계층 ✅ OSI 7계층 - 과거에는 장비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했기 때문에 다른 회사의 장비와 통신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했음 - 프로토콜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ISO(국제표준화기구)에서 OSI 7계층 모델을 발표함 ➤ OSI 7계층 -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표준화하여 시스템 간의 상호연결성을 부여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 모델 -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 이용하고,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 1️⃣ OSI 1계층 : 물리 계층 -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장비 -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 수행 - 장비 : 통신 케이블, 허브 등 2️⃣ OSI 2계층 : 데이터 링크 계층 - 물리 계층.. 2023. 6. 1. [웹 서버, WAS] feat. 정적 페이지, 동적 페이지 순서 1. 정적 페이지 vs 동적 페이지 2. 웹 서버 vs WAS ✅ 정적 페이지 vs 동적 페이지 ➤ 정적 페이지 - 모든 상황에서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➤ 동적 페이지 -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- 이전에 공부했던 SSR, CSR이 바로 동적페이지를 처리하는 종류들임 https://for-your-information.tistory.com/11 ✅ 웹 서버 vs WAS ➤ 웹 서버 -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프로그램 - WAS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정적 페이지를 제공하는 역할 + 동적 페이지 제공을 WAS에게 요청하고,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 - ex) Apache Server, Nginx 등 *.. 2023. 5. 29.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